분류 전체보기 132
-
1. 결정 트리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요? 결정트리는 분석 결과를 해석하기 쉬우며, 변수 간의 상호작용과 비선형성을 반영하여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델의 직관성과 가시성이 높아, 어떤 결정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기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그러나 결정트리는 과적합(overfitting)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가지치기와 데이터의 적절한 샘플링이 필요하다. 또한 결정 트리 기반의 모델은 데이터 분포가 일정하지 않거나 데이터에 노이즈가 포함된 경우 정확한 예측이 어려울 수 있다는 한계도 있다.더보기 2 . 부스팅은 어떤 특징을 가진 앙상블 기법인가요? 토픽에서 배운 AdaBoost 이외의 부스팅 모델에는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구글 등을 활용하여 직접 리서치해보고, 각 ..
-
1. 지도 학습과 비지도 학습의 차이는 무엇인가요?지도 학습은 답이 정해져 있고, 그 답을 맞추는게 학습의 목적이다. 그래서 학습데이터의 답을 꼭 알려줘야 한다. 비지도 학습은 답이라는 개념이 없다. 예를 들어 인터넷 기사 데이터를 학습시킨다 하면 지도 학습은 이건 사회, 이건 연예, 이건 경제 하면서 답을 알려줘야 하는데 비지도 학습은 비슷한 기사 끼리 묶어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도 학습은 스팸 메일을 가려내는 분류와 아파트 가격을 예측하는 회귀로 나눌 수 있다.더보기 강사님 답> 지도학습은 정답(lable)이 있는 데이터를 학습해 예측하는 방식이고, 비지도학습은 정답 없이 데이터의 구조 나 패턴을 찾는 방식입니다. 2. 손실 함수(loss function)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요?손실 함수..
-
1. 선형대수학이란 어떤 학문이며, 왜 머신러닝/딥러닝에 필요한지 설명해보세요.선형대수학이란?- 벡터와 행렬을 다루는 학문- 행렬의 각각이 하나의 벡터가 되어 형성하는 공간을 벡터 공간“벡터로 형성된 공간, 즉 벡터 공간에서 덧셈이나 상수곱 형태의 연산으로 변환을 하고, 그 공간의 성질에 대해 공부하는 것” 왜 머신러닝/딥러닝에 필요할까?- 우리가 다룰려는 데이터들이 행과 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 데이터 처리의 기본단위 더보기 2. EDA(Exploratory Data Analysis)란 무엇인가요?- 탐색적 데이터 분석- 데이터를 단순히 수치적으로 처리하거나 모델링을 위한 준비만 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다양한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이해하려고 시도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EDA..
-
1. DB 연결 새로운 js파일 만들어서 db연결 코드 옮겨주기 var mysql = require('mysql'); var db = mysql.createConnection({ host:'localhost', user:'jinsugyeong', 'password':'0000', database:'opentutorials' }); db.connect(); module.exports = db; 필요없는 코드 삭제하고, db 변수에 새로만든 파일의 경로 적어주기 var http = require('http'); var url = require('url'); var qs = require('querystring'); var template = require('./lib/template.js'); var db ..
-
1. 작성자 목록 가져오기 ...(생략)... } else if(pathname === '/create') { //create일 때 실행 db.query(`SELECT * FROM topic`, function(error, topics) { db.query('SELECT * FROM author', function(error2, authors) {//작성자 select 질의문 추가 console.log('authors : ', authors); ...(생략)... 2. 셀렉트박스 만들기 tag라는 빈 문자열 변수와 i라는 0따리 정수 인덱스 변수 만들어서 select 태그의 자식태그인 option 태그를 문자열로 묶어버려서 넣기 var tag = ''; var i = 0; while(i < authors..
-
부이 ^_____^v import 'dart:convert'; import 'dart:io'; import 'dart:math'; void main() { // 1. 유저에게 어떤 타입을 낼 것인지 물어보는 질의 창 print('가위, 바위, 보 중 하나를 정해서 입력해 주세요.'); final String userInput = stdin.readLineSync(encoding: utf8) ?? 'Error'; // 2. 컴퓨터가 낼 타입이 어떤 것인지 결정하는 함수 const selectList = ['가위', '바위', '보']; final cpuInput = selectList[Random().nextInt(3)]; //0~2 임의 값 가져옴 print('안 내면 진거 가위,바위, 보\t >>>>'..
-
-
1.디바이스 만들기 2.무난하게 픽셀4로 선택해주기 3. 제일 최신버전 안드로이드 api레벨 선택하기 티라미수래..너무기엽다 라떼는 킷캣..오레오 이런거엿다고 .. 할머니 지팡이도 부러뜨리기전에 가세요.. 4.화면은 가로로 할지 세로로 할지, 네트워크 설정은 어떻게할지 등등 설정하기 Emulated Performance Cold boot : 시작은 늦지만 안정적임 Quick boot : 최근에 실행했던 환경을 기반으로 빠르게 시작됨 5. 결과 6. 실행 램 쓰레기라 안켜지는 듯^^ 선생님 휴대폰이 벽돌이에요 ^_ㅜ 스무살에 하던거 7년 지나서 다시 하니깐 현타오진다... 걍 하던거 열심히 햇더라면 이라는 생각이 머리속에서 떠나지가 않음... 지금이라도 열심히 해야지...우째